본문 바로가기
운동하는 아빠되기

전완근 운동하는 법, 악력 키우는 법, 팔씨름을 잘해야 하는 이유

by 천상연인 2024. 10. 4.
반응형

팔씨름을 잘해야 하는 이유

 

바로 여자 때문입니다.

여성들에게 강함을 보이고 싶거나, 사회생활에서 인정받고 싶다면 무술이나 격투기가 아닌

헬스나 '팔씨름' 훈련을 하는 편이 낫습니다.

 

세상에는 여자와 함께하는 모임이 참 많지요. 동창 모임, 부부동반 모임..

아니면 회사나 축제에서 이벤트성으로 벌어지는 팔씨름 대회도 있겠네요.

 

문제는 이러한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팔씨름' 판이 벌어진다는 겁니다.

그런데 그 상황에서 팔씨름을 져버리면 그냥 약한 사람이 되버립니다.

자신이 효도르를 한방에 눕힐 수 있는 펀치력을 가지고 있어도,

김동현을 이길 수 있는 격투기 실력을 가지고 있어도 소용 없습니다.

팔씨름을 져버리면 그저 멋적은 표정이나 지으며 고개 숙이고 물러날 뿐입니다.

 

여자들은 격투기의 지식이 아예 없습니다.

단지 팔씨름의 승패 하나만 가지고 단번에 평가를 내려버립니다.

'팔씨름에 진 남자는 약하다'

만약 김동현이 일반인에게 팔씨름을 지는 모습을 본다면

'이 사람에게 김동현이 질 수도 있다'고 그냥 생각해버리는게 바로 여자입니다.

 

살면서 여자들을 지켜본 결과 여성들은 진짜 이런식으로 생각합니다.

팔씨름을 지자마자 느닷없이 '나는 복싱 10년차야! 싸우면 이길 수 있어!'라고 말할 수도 없잖아요?

순식간에 약한 남자가 되고 마는 겁니다.

게다가 이렇게 말한다고 해도 "그러다 괜히 다쳐.. 하지마.." 하고 걱정이나 안받으면 다행입니다.

팔씨름을 패배하면 순식간에 남자답지 못한 남자가 됩니다.

이것이 바로 싸움보다 팔씨름의 패배가 더 괴로운 이유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팔씨름을 이기기 위한 악력 키우는 법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팔씨름 방법과 전완근, 악력 운동 BEST 3

 

1. 팔씨름 방법

 

1-1. 복부를 테이블에 붙이기

  너무 시작하자 마자 허리를 숙이면 반칙이라고 한소리 들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래야만 힘을 가하기 좋아집니다. 허리를 숙이면서 복부에 힘을 잔뜩 가해 보세요.

1-2. 팔을 옆구리에 바짝 붙이고 어깨를 살짝 올리기

    어깨가 높아지게 되면 힘 쓰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경기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팔을 옆구리에 붙일 수록 가동범위가 줄어 더 강한 힘을 만들어 내기에 유리합니다.

  또한 팔꿈치를 너무 길게 펴면 힘이 분산되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팔을 본인의 몸에 최대한 가깝게 해주세요.

1-3. 마주잡은 손목은 윗쪽을 선점, 내 몸쪽으로 당기듯이

    시작과 동시에 손목꺾기를 하시고 손목이 윗쪽으로 최대한 가게 합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될 수록 나는 안전하지만 상대방은 힘이 빠지게 되기 때문에 결국 승리하게 됩니다.

  옆으로 넘어뜨리기 보다는 내 몸쪽으로 당기듯이 넘기는 것이 좋습니다. 내 몸쪽으로 당길수록 상대방은 팔 각도가 커지게 되면서 힘쓰기가 어려워집니다.

 

2. 전완근, 악력 운동 BEST 3

 

2-1. 매달리기

  헬스를 하게 되면 힘은 남아 있어도 더 이상 당기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이 모든 것이 기본인 전완근이 받쳐 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턱걸이 전 매달리는 동작은 가장 간단하면서도 전완근과 악력을 키우기 좋은 운동입니다. 매달리는 과정에서는 손목이 꺾여 있는 상태가 아니라 몸에 힘을 빼고 축 처진 상태로 매달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보통 충분히 강하다 싶은 악력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한번 매달렸을 때 2분 이상 매달려 있을 수 있는 것이 좋습니다.

  2분 이상 매달릴 수 있다면 튼튼하고 갈라진 전완근을 쉽게 얻을 수 있을 겁니다. 그만큼 단순하면서 효과가 좋고, 다른 도구가 필요없어서 가장 많이 추천하는 운동입니다. 처음에 매달리기가 너무 힘들다면 분할로 30초씩 5세트, 10초씩 10세트 등 각자 상황에 맞게 목표를 수정하면 됩니다.

2-2. 리스트 컬

  전완근을 직접적으로 타격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운동입니다. 일단 벤치나 평평한 장소에 전완근을 얹어 줍니다. 그리고 손바닥을 위로 보이게 덤벨이나 바벨을 잡습니다. 이 상태로 손목을 안쪽으로 말아주면 전완근이 강화되는 아주 간단한 동작입니다.

  전완근은 많은 힘줄이 지나가지만, 금방 회복되는 작은 근육 부위 입니다. 전완근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고중량 보다는 세트나 횟수를 늘리는 고반복이 적합합니다. 덤벨이나 바벨의 무게는 20회 이상 가능한 중량을 설정하여 진행하고, 세트 수는 5세트 이상이 적당합니다.

2-3. 악력기

  전완근 하면 빠질 수 없는 보조 기구인 악력기 입니다. 대표적으로 COC악력기가 있습니다. 악력기는 시간과 장소에 관계 없이 어디서든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악력기는 출퇴근 할대도, 외출할때도, 핸드폰을 보면서도 할 수 있습니다. 헬스장을 굳이 가지 않아도 악력기 만으로도 무적의 전완근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소개한 리스트 컬을 하지 않는다면 악력에 비해 전완근이 생각보다 커지지 않는 것이 단점입니다. 그래서 외형적으로도 멋진 팔을 원한다면 악력기 + 전완근 운동까지 곁들여 진행해 주는 것이 훨씬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